장례식 절하는 방법과 순서 예절

한국의 장례식장은 고인에 대한 마지막 인사를 전하고 유가족에게 위로의 말을 건네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장례식장에는 일반적인 사회적 예절과는 다른 특별한 규범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처음 방문하는 이들에게는 다소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장례식장 절하는 법과 그에 따른 예절, 위로의 말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장례식장에서 절하는 법

장례식장에서의 절은 고인에 대한 존경의 표시이며, 이를 통해 상주에게도 예의를 갖추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절하는 방법은 남성과 여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남성의 절하는 방법

  • 첫 번째 단계로, 영정 앞에서 두 손을 가지런히 모아 공손한 자세를 취합니다.
  • 자세를 유지한 채 오른발을 약간 뒤로 빼면서 무릎을 꿇고, 왼쪽 무릎부터 바닥에 대어 줍니다.
  • 이후 오른쪽 무릎도 땅에 붙여 깊이 숙이고 절을 합니다.
  • 절 후에는 상체를 천천히 일으키면서 고개를 숙인 채 영정앞에서 물러나 상주와 맞절을 합니다.

여성의 절하는 방법

  • 여성의 경우, 영정 앞에서 두 손을 단정히 모으고 바른 자세를 취합니다.
  • 오른발을 살짝 뒤로 빼고 왼쪽 무릎부터 바닥에 대고 무릎을 꿇습니다.
  • 이후 손을 바닥에 가지런히 두고 깊이 숙여 절을 합니다.
  • 절을 마친 후, 몸을 일으켜 상주와 맞절을 수행합니다.

분향 방법

분향은 고인에 대한 애도를 표하는 첫 단추로, 장례식장에서는 꼭 지켜야 할 예절입니다. 다음의 절차를 따라 주십시오:

  • 향을 한 개 혹은 세 개 집어서 성냥 또는 촛불로 불을 붙입니다.
  • 붙은 불을 손가락으로 살짝 잡아 끄거나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준 후에 향로에 꽂습니다.
  • 향을 꽂은 후, 공손한 자세로 영정에 절을 합니다.

조의금 전달의 예절

조의금은 고인의 유가족에게 예의로 전달해야 하며, 그 절차 역시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념하세요:

  • 조의금 봉투에 ‘부의’, ‘근조’, ‘조의’, ‘전의’ 등의 적절한 문구를 씁니다.
  • 단자에는 금액을 적고, 봉투 뒷면에는 자신의 이름과 소속을 기재해야 합니다.
  • 조의금은 직접 상주에게 전달하기보다는 부의함에 넣는 것이 좋습니다.

장례식장 인사말

장례식에 참석할 때는 어떤 말을 해야 할지 고민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위로의 말과 피해야 할 말을 소개드립니다.

해야 할 말

  • “고인이 좋은 곳으로 가셨을 거라 믿습니다.”
  • “이 슬픔을 함께 나눕니다. 필요하시면 말씀해 주세요.”
  •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음이 조금씩 치유되기를 바랍니다.”

피해야 할 말

  • “이렇게 된 이상…” – 부적절한 태도를 드러내는 말입니다.
  • “왜 이렇게 일찍 가셨을까?” – 불필요한 질문으로 슬픔을 더할 수 있습니다.

장례식장 예절

장례식장에서는 적절한 예절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의 사항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복장은 검은색 또는 어두운 색상의 단정한 복장이 바람직합니다.
  • 상주와의 대화 시 개인적인 질문은 피하고, 슬픔을 존중해야 합니다.
  • 문상 시 유가족을 붙잡고 말하는 것은 실례가 됩니다.

이번 글을 통해 장례식장에서의 올바른 행동과 예절에 대해 알아보셨기를 바랍니다. 고인을 기리는 행동과 함께 유가족에게 위로의 말씀을 전하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일이니, 예의를 갖추어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물으시는 질문

장례식장에서 절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장례식장에서의 절은 고인에 대한 존경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방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남성은 먼저 두 손을 모은 후, 오른발을 뒤로 빼고 무릎을 꿇어 절을 하며, 그 후 상체를 일으켜 상주와 맞절을 합니다. 여성은 같은 방식으로 시작하되, 두 손을 바닥에 가지런히 두고 깊이 숙이는 방식으로 절을 해야 합니다.

절을 하는 특별한 규칙이 있나요?

예, 장례식장에서는 고인에 대한 깊은 존경과 함께 상주에게 예의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절하기 전에는 공손한 자세를 유지하고, 절을 마친 후에는 신중하게 몸을 일으켜 상주와의 맞절로 이어가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러한 절차는 고인을 기리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